한글 윈도우에서 아래의 이미지에서처럼 키보드 또는 기타 입력기의 잘못된 설정 또는 충돌로 인하여 자음과 모음이 분리되어 입력되는 오류가 있습니다. 아래의 해결 방법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ㅁㅏㅊㅣ ㅇㅣㄹㅓㄴ ㅅㅣㄱㅇㅡㄹㅗ ㅈㅏㅇㅡㅁㄱㅗㅏ ㅁㅗㅇㅡㅁㅇㅣ ㅂㅜㄴㄹㅣㄱㅏ ㄷㅗㅣㅂㄴㅣㄷㅏ.
1. ‘윈도우 로코키 + H” 키가 실수로 눌린 경우
윈도우키와 H키를 누르면 음성 인식 기능이 작동하는 데 한국어는 지원 대상이 아니므로 오류 메시지와 함께 작동하지 않는 다고 알림창이 뜹니다. 그런데 문제는 그 이후에 한국어 키 입력이 늘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 문제는 윈도우가 재시작되지 않는 한 해결책은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비록 한국어는 지원되지 않지만 음성 인식이라는 액션 자체가 윈도우가 켜있는 동안 항상 가동하는 기능이 아니라 순간적으로 필요할 때에만 켜지는 기능이라는 점때문인지 윈도우즈를 재시작하면 한글 자모 분리 현상 또는 한글 늘어짐 현상은 사라집니다.
2. 기본 입력 언어 설정 변경
– 윈도우즈 설정에서 시간 및 언어 > 언어 항목 > 기본 설정 언어에서 한국어 하나만 있거나 한국어 항목을 드래그하여 가장 위에 있게 하세요.
– 한국어가 기본 설정 언어로 가장 상단에 위치해 있는 것을 확인했으면 다음으로 그 아래에 있는 ” 항상 기본값으로 사용할 입력 방법 선택”을 눌러서 “언어 목록 사용(권장)”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3. 한국어 옵션 설정
위에서 살펴본 기본 언어 설정에서 한국어를 클릭한 뒤 옵션을 클릭합니다. 옵션에서 사용 지역 언어는 한국어로 맞추고, 키보드 레이아웃은 한글 키보드 101 키 또는 103 키를 선택하시고 키보드 기본 시퀀스가 마이크로소프트 입력기로 되어 있는지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4. 키보드 추가 및 삭제
위의 이미지중 키보드 추가하는 곳이 있는 곳에서 키보드 추가 플러스 표시를 누릅니다. 옛 한글 키보드를 추가한 다음 재부팅합니다. 다시 옛 한글 키보드를 삭제한 다음 재부팅합니다.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시도해 봅니다.
5. 기본 언어의 교체
위의 3번 항목까지의 과정 진행에도 불구하고 키보드 입력 오류가 계속되는 경우 강제적으로 언어를 재설정하는 방법을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 윈도우즈 ‘설정 > 시간 및 언어 > 언어’ 항목으로 들어갑니다.
원래 윈도우즈를 설치하고 아무런 오류가 없는 순정 상태의 언어 설정 항목은 아래의 이미지와 같은 형태입니다. 따라서 작업이 끝난후 모든 오류 문제가 해결되었다면 이 상태로 설정을 맞춰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이제 다시 오류 수정 방법으로 돌아 오면, 언어 추가 + 표시를 누르고 영어(미국) 등의 한국어를 제외한 언어팩을 추가 설치합니다.
– 해당 언어팩을 드래그하여 상단으로 올려 기본값으로 지정하고 한국어를 클릭한 제거합니다. 다음 상단의 Windows 표시 언어는 영어로 선택합니다. 완전한 적용을 위해서는 윈도우즈를 로그 아웃후 다시 로그인하여야 합니다.
– 재부팅후 다시 윈도우 설정의 시간 및 언어 > 언어 > 기본 설정 항목으로 돌아와서 한국어팩을 설치합니다. 이때 ‘윈도우즈 표시 언어로 설정’에 체크합니다.
– 임시로 추가했던 언어팩인 영어(미국)은 제거합니다.
제거 버튼이 활성화 되지 않을 경우에는 영어 팩을 클릭했을 때 좌측 하단에 나오는 화살표중 아래쪽으로 향하는 화살표를 눌러 확실히 한국어팩의 아래에 있게 하시기 바랍니다. 그 다음 윈도우 설정을 재시작하면 영어팩의 제거 버튼이 활성화 됩니다.
6. 윈도우즈 업데이트 및 Dism 및 SFC 과정 실행
추가적인 윈도우즈 업데이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존재한다면 윈도우즈 업데이트를 실행합니다.
다음으로 Dism 및 SFC과정을 진행해 줍니다. 파일 손상 여부를 검사하고 수정하는 과정입니다.
Dism 및 SFC 과정은 아래의 포스팅의 3번 항목을 참고하여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글이 아닌 숫자가 입력 되거나
자음 모음이 띄어쓰기 되면서
따로 입력 되는 노트북 자판 오류
제가 해결하는 방법 알려드릴게요
자 그럼 이제 이상하게 입력 되는
레노버, HP 등 모든제품에 해당 되는
증상을 해결해볼까요?
왼쪽 하단의 ‘Fn’키를 누른 상태에서
우측 상단 ‘Num Lk’ 을 눌러보세요
제조사와 기종에 따라 버튼이
약간 다르기도 한데요 요즘 나오는
삼성, LG 신형 노트북은
버튼 하나만 누르면 되는
‘FnLock’키가 따로 있으니
그것만 누르면 노트북 자판 오류 증상은
거의 다 해결 된답니다.
‘FnLock’, ‘Num Lk’ 키가
둘 다 없는 제품이라면
‘Fn’ + ‘F11’키를 누르면 되겠습니다.
제품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노트북은 크기가 작아서 숫자키가
따로 없는 제품들도 있어요
그래서 모음버튼에 0부터 6까지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데
잘못 눌러지다 보면 한글이 아닌
숫자가 섞여 입력 되는
노트북 자판 오류가
종종 일어나기도 하지요
넘버락 ON 상태면
숫자가 입력 되는 것이고
넘버록 OFF 상태에 있다면
정상적인 한글이 입력 된답니다
아래는 윈도우 7의 화면이며
펑션키를 누를 때 마다
ON / OFF를 확인하실 수 있어요